202410 도서관 일기 – 애증의 땅콩버터 샌드위치

 

지난달 글에서 말했다시피, 도서관은 기본적으로 책을 읽고 빌리는 곳이다. 그러니 주방이 있다 한들 대단치 않다. 현재 완산도서관은 3층의 작업실마다 입주작가들을 위해 주방을 마련해줬다. 시민작가 내부의 주방, 자작서재 내부주방, 공용부엌 세 곳이 있다. 내가 주로 가는 곳은 공용부엌이다.

My breakfast

(모든 도서관이 그렇지만은) 도서관 안에서는 밥 먹기가 쉽지 않았다. 8월을 돌이켜 보니 도시락을 싸긴 했는데 내 요리 실력이 형편없어 안싸간 날이 훨씬 많았다… 결국에 가장 많이 먹은 건 완산도서관 근처 빵집에서 산 식빵이다. 인터넷 쇼핑몰에서 특가로 산 땅콩버터를 빵에 대충 바르고 전자레인지에 1분 돌린다. 손으로 집어 우걱우걱 먹고 바로 설거지를 한다. 설거지를 마치고 나면 방충망에 나방들과 잡벌레들이 달라붙는 것을 보고 소스라치게 놀라 향을 피우는 걸로 점심을 마무리했다. 써놓고 나니 참으로 볼품 없는 식사다.

8월에 한 외식을 세어보려 가계부를 펼치니 (아침식사로는)맥도날드와 남부시장이 눈에 띈다. 주로 먹은 메뉴는 맥모닝, 순대국밥, 콩나물국밥. 세 메뉴 다 먹을만 하지만 급하게 먹게 된다. 맥모닝은 원래 패스트푸드니 그렇다 치더라도, 아침에 도서관 가는 길에 도깨비 시장의 할머니와 할아버지들을 보면 새벽은 생각보다 고요하지 않다. 오히려 빠른 속도와 부지런함이 느릿느릿한 내 정신을 일깨운다. 아침식사를 하는 사람들의 숟가락과 젓가락의 속도, 의자가 당겨지고 빠지는 속도 속에서 식사는 무섭도록 전투적이다.

아침식사를 자주 못 먹은 것은 의 유혹도 있지만, 주차를 하기도 쉽지 않고, 차 빼러 나가는 길은 막막하기 때문이다. 아침 8시시 10분께 밥 먹고 차에 돌아와 시동을 거니 8시 45분, 그리고 9시 5분에 도서관에 도착. 이유는? 새벽부터 좌판을 벌이는 어르신들과 무단주차들 사이로 출근차량들이 잔뜩 오가기 때문이다. 게다가 느닷없이 보행기와 자전거, 카트를 끌고가는 어르신들을 피해 테트리스 블록 사이를 운전하는 기분이었다.  차를 주차하고 나서 불현듯 궁금증이 일어 도서관 정문에서 남부시장 식당으로 다시 걸어보니 9분이 걸렸다. 이 거리를 자동차로 20분 남짓 걸리다니, 뭔가 잘못된 거 아니야? 다시 올라오는 길 내내 투덜거렸던 기억이 난다.

그래서 남부시장 아침 외식은 아주 이른 새벽에 와야 여유롭게 즐길 수 있을 듯 하다. 그렇다고 해서 그걸 먹으러 도서관에 아주 일찍 가고 싶지는 않지만.

 

점심은 보통 인근 작업실에 계신 선생님들과 같이 먹을 때가 많다. 선생님들의 음식 솜씨는 정갈함과 단정함이 돋보인다. 그렇다고 그분들이 진수성찬을 매번 차린다는 뜻이 아니다. 못난 비유이지만, 객지 생활 하다가 오랫만에 고향 집에서 밥먹는 느낌이다. 나는 선생님들이 주시는 이런 소박하고 따뜻한 밥상에 매번 감사를 느낀다.

하지만 때가 안 맞거나(각자 일정이 있으니) 하면 다시금 식빵을 꺼낸다. 과자 같은 것도 생각했는데, 도통 입맛에 맞지 않아 그만뒀다. 도서관 근처에 있는 여러 식당에서 홀로 점심 외식도 몇번 있었지만, 도서관 이야기에서 너무 벗어날 것 같아 하지 않겠다.

 

그러고 보니 내가 이용하는 공용주방은 3개월 간 많은 변화가 있었다. 여기서 도서관 운영진에 대한 비판을 좀 해야겠다. 개관일(7월 29일)에 본 주방은 말 그대로 황량해서 포크 5개, 컵 6개, 접시 3개. 수저 없는 것은 알겠지만 수세미도 세제도 고무장갑도 없어 황당했다. “아니, 접시와 컵이 있으면 최소한 세제는 줘야지!” 내가 가장 먼저 한 불평이다.(물론 나중에 세제를 받았습니다만)

쓰레기통 역시 통만 덩그러니 있고 봉투는 없어(9월부터 쓰레기봉투를 넣어주었다) 누가 음식물을 버리면 냄새가 지독했다. 게다가 8월 중순에는 창문이 고장나서 닫을 수도 없었다. 점입가경으로, 이전에 음식물 쓰레기를 비우지 않아 8월 초에 맺힌 악취가 배어, 습도 높은 날이면 다시금 악취가 올라온다. 이 냄새는 이 글을 올리는 지금도 쉽사리 빠지지 않는다. 내가 냄새에 좀 민감하기도 하지만 여름철에 부엌에 들어가는 작가님들 모두 눈을 찌푸리곤 했다.

어쨌든 7월 30일에 바로 수세미와 고무장갑, 일회용 수저 등을 가져왔다. 공용주방을 이용하는 다른 분들도 조금씩 집에서 여러가지를 가져와 어느새 부엌다운 모습이 되었다. 특히 컵이 많이 늘어났다. 음식물 냄새도 아직 여전하지만 않지만 그래도 이전보다는 좀 나아졌다. 모두가 힘을 합치니 부엌이 복작복작해도 재미지다. 일회용 젓가락과 수저, 밥그릇과 위생봉투, 키친타올, 위생장갑… 이것들을 보고 있으면 부엌 살림 늘어난다는 재미가 이렇구나 싶다.

Morning coffee

이곳엔 전기주전자와 전자레인지밖에 없으므로 불 쓰는 요리는 언감생신이다. 데우기와 물 붓고 기다리기 밖에는 요리를 만들 재간이 없다. 그렇다 하더라도 다들 이것저것 가져와 꽤나 풍성하다. 과일을 가져온 분도 계시고 과자를 나누기도 한다. (지난번 글에도 말했지만)나는 점심을 마치면 선생님들께 커피와 차 등을 대접한다. 있는 것 중에서 내리는 것이라 볼품없지만, 그럼에도 다들 맛있게 드셔서 다시금 감사할 따름이다.

 

저녁식사에 대해서는 점심식사와 같다. 땅콩버터와 식빵. 땅콩버터와 식빵. 아주 가끔 컵라면. 애초에 저녁에 많은 작가님들이 있지 않아, 가끔 저녁께 들르면 보통 내 방만 불이 켜져 있는 것이 훵덩그레하다. 그러니 계속 급하게 먹는 습관을 고치지 못한다. 홀로 요리하며 부엌에서 여는 우아한 식사라…. 그런게 있을 리가 있나.

그러나 가끔 내 옆 작업실의 이동한 소설가님이 남아있으면 함께 야참을 먹을 때도 있다. 나와 이동한 형님 둘 다 먹는 것은 좋아해서 이런 데에 죽이 잘 맞는다. 보통 동한 형님이 미리 주문하고 내가 도서관으로 가는 길에 가져온다. 대체로 김밥이 가장 많았다. 혼자 먹으면 조금 추레하지만, 형하고 분식을 앞에 두고 글쓰기가 왜 안되는지 떠들다 보면 밤의 도서관이 주는 적적함도 맛있어진다.

 

지난 저녁에는 작업실 문을 닫고 오랜만에 술을 마시러 내려갔다. 서서학동에서 전주천을 바라보는 술집들은 제법 비싸다. 그러나 남부시장과 웨딩거리에는 노포와 젊은이들이 운영하는 식당과 술집은 가격이 조금 더 싸고 양이 제법 많다. 웨딩거리 근처서 국수를 먹고 전통소주를 한 모금 마셨다. 술을 천천히 마시면서 노을에 벌겋게 젖은 전주천과 도서관, 건물과 나무들을 생각했다. 도서관에서 밥을 먹고 모니터 앞에서 글을 계속 쓰는 시간이 주마등처럼 희미해지다가도 돋보기처럼 뚜렷해진다. 먹고 전주천을 향해 걷다 보니 어스름 속 완산도서관의 모습이 달빛처럼 은은하고 따뜻하게 보였다. 밖에서 먹는 식사의 즐거움과 별개로, 불현듯 완산도서관에서 홀로 먹는 땅콩버터 샌드위치의 맛이 그리워져서 홀로 웃었다.

 

Library Diary – September 2024: Tea Time and Library Views(Eng)

September 2024 – Wansan Library Writer-in-Residence Notes

“Good To the Last Drop”

Libraries aren’t really the best places for having a meal or a proper cup of tea. The main purpose of a library is for reading books, after all. And books are basically filled with the scent of ink and wood, so when other smells mix in, it can get rather unpleasant. That’s why libraries aren’t quite suitable for running restaurants.

A while back, an older friend who used to live around here dropped by my workspace. Over tea, he told me that the old Wansan Library used to have a restaurant in the basement, and after eating, he’d look around to see if there were any pretty girls about. “Wow, so there was a time like that!” I nodded along. After he left, I watched people eating coffee, drinks, and kimbap on the first floor, and suddenly I felt like writing about food and drink.

(After reading some books about libraries) I found out that libraries in Jeonju, as well as in Korea, Japan, Britain, and Germany, are running cafes as pilot programs – and Jeonju could very well be a pioneer in this. Songcheon, Kkochsim, and Pyeonghwa Libraries run ‘I Got Everything’ cafes where people with disabilities work as staff. The drinks are actually quite good, and it’s a lovely spot for a break. A book and a cup of tea go together rather well, don’t they? Though libraries aren’t exactly the best places for having a chat.

Since I’m a writer-in-residence at Wansan Library, I’ll stick to talking about this place. Generally, when the library opens in the morning, people settle into their spots and after about 10 minutes, they head to the water cooler with their bottles or cups. Or they visit the coffee vending machine on the first floor. Last August, I never used the vending machine at all. But this month, I suddenly fancied a coffee one morning, so I got one from the machine – and it was actually pretty decent! Much better than the drinks from small cafes in the city center that rush through everything. It wasn’t just me either – the other writers nearby, Lee Kyung-ok, Choi Ki-woo, and Kim Geun-hye, all agreed. The machine’s coffee-making skills have really improved. Plus, it’s cheap! The first half of 2024 was marked by high prices, but finding 2,000 won coffee is like spotting a flower garden in the middle of an asphalt road – quite miraculous. On holidays, you can see people having snacks and watching movies in front of the vending machine with their coffee. As long as they’re not too loud, it’s actually a beautiful scene.

It’s about a 2-minute walk down from Wansan Library (at my pace). Getting to cafes in nearby Dongwansan-dong or Seoseohak-dong takes about 5 to 15 minutes. In August and September, when you’re walking, you can feel sweat forming between your clothes and skin. The hot wind makes you sweat even more, so by the time you reach a cafe, you’re absolutely knackered and just collapse into a chair. After going out like that two or three times, I gave up. Taking the car would be a hassle too, and thinking about going out and then having to walk back because there’s nowhere to park in this area with limited parking spaces… Blimey, it’s dizzying to think about. Even in September, temperatures reach 34°C during the day, so I reckon I won’t venture out for cafe walks until October. Just to mention, the cafes I visited were: Did(디드) Flower Garden Branch (Dongwansan-dong), Haim(하임) (Dongwansan-dong), Gwang Coffee Roastery(광커피 로스터리) (Seoseohak-dong), Eat Anything(잇 애니띵) (Seoseohak-dong), and Hyemidang(혜미당) in the Youth Mall on the 2nd floor of Nambu Market.

After having coffee and getting some fresh air outside, you really don’t want to go back to the library. Despite my determination from last August, I found myself muttering, “If I go to the library, I’ll just struggle with writing and worry myself into a funk… shall I skip today?” Laziness is quite frightening, isn’t it? Fighting laziness is something you need to be prepared for your whole life.

It’s My kettle, such a lovely one!

So to avoid temptation (and save a bit of money too), I make tea in my workspace. I drink black tea, oolong tea, and pu-erh tea that I’ve received as gifts or bought. In my previous post, I wrote about opening the door and wandering around when I first arrive at the library, but these days I open the door and fill the kettle with water first. Hearing the sound of water filling in the kitchen feels like slowly waking up.

Of course, I have coffee too… but I’m in a situation that’s both awkward and wonderful. I used to work part-time at a cafe for ages, and the friends I made there now run their own cafes. They visited my workspace last month to congratulate me and brought loads of coffee beans. When you only have a small amount of beans it’s fine, but when you have this much, they’re more troublesome to store than tea. Ground coffee loses its aroma quickly, and if you drink too much coffee, your whole day goes to pieces.

So last month and this month, when I meet the other writers in the morning and at lunch, we share coffee and tea. At first, we only drank drip coffee, but then we started adding milk and sugar too. I’ve learned what the most delicious coffee tastes like: drinks shared while having a good chat are the most delicious and comforting. When I say chat, it’s usually about our work. In August, “Why can’t I write anything?” was the most common topic. I suppose creative struggles are similar for everyone. These days it’s more like “I know what I want to write, but I’m not making progress.” Either way, we’re all moving forward while wobbling about.

Sometimes in the afternoon (mainly on Saturdays), when I see another writer’s room lit up, I pop over to offer a cup of coffee or tea. Usually, it’s just Lee Dong-han from the room next door who I end up calling. He has quite refined tastes, so I get a bit nervous every time I make something, but thankfully he enjoys both tea and coffee, which I’m grateful for.

This morning, as I write this, it was rather warm, but I went out to Wansan Chilbong Hill with my mug. Watching autumn’s coolness spread through stems and leaves amid summer’s heat, I took a sip of oolong tea. This place was once an execution ground, royal forest land, a defense base during the Korean War, and now it’s become a library. I placed tea in a small paper cup on a bench and held a small tea ceremony (茶禮). For those who were once here, and for those who come and go and stay here – may they all be at peace.


P.S. This post is also published on Tistory and Brunchstory.

error: Content is protected !!